수면장애

홈 > 정신건강 클리닉 > 수면장애

숙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아이는 다양한 신체 이상이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성장부진

피로증가

면역력 약화

식욕 저하

성장과 면역계, 뇌 발육 등에 매우 중요한 소아기의 잠

성장호르몬은 잠들고 약 1시간 후에 가장 많이 분비되며 깊은 수면은 뇌를 포함한 전신의 진정한 휴식을 가져와 몸의 회복을 도우며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들의 혈중 농도를 높여 면역력을 강화시킵니다. 뿐만 아니라 낮 동안 기억하고 학습한 것을 잠자는 동안 정리하고 저장하여 장기간 기억으로 전환합니다. 따라서 숙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아이는 성장부진, 피로증가, 면역력 약화, 식욕 저하 등의 문제가 나타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수면 장애의 정확한 원인을 알고 그에 맞는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수면장애의 원인

  1. 식체로 인해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면 위장이 불편해 잠을 이루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낮에 큰 소리나 낯선 환경에 놀라 신경이 예민해지면 밤 수면까지 스트레스 상태가 지속되어 깊은 잠에 들지 못하게 됩니다.
  3. 본래 허약한 아이가 몸의 기혈 순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면 손, 발이 차고 배앓이, 설사 증상을 보이면서 밤에 칭얼대고 숙면을 취하지 못합니다.
  4. 몸에 열이 과도하게 많으면 머리 쪽 상부에 땀이 많이 나고 이불을 덮지 않으려 하며 깊게 잠들지 못하는 현상이 생깁니다.
  5. 기질적으로 예민한 성향을 가지고 태어난 경우 특별한 질환 없이 야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아이의 ‘입을 벌리고 자는 습관’은 좋은 호흡을 방해하고 수면 중 호흡은 수면의 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코 대신 입으로 숨을 쉬는 아이는 얕은 잠을 자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구강 호흡이 관찰된다면 비염, 축농증 등 코 질환을 의심해보고 정확한 검진을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김윤희 키즈 한의원의
수면장애 치료

01소아 자락술 및 체침 치료
놀란 마음을 안정시켜주고 울결된 기를 소통시켜주어 원활한 수면을 도와줍니다.
02약물치료
야제가 발생한 원인에 따라 아이의 체질과 상태에 맞는 약물치료를 통해 치료합니다.
03부항과 근막이완요법
뭉친 기혈로 인해 긴장된 몸의 근막을 풀어줍니다.